본문 바로가기
성경의 원리

치유선교학(Healing Missiology)이란 무엇인가?

by deuga 2023. 11. 6.
반응형

다음의 글은 2010년 치유와 선교 창간호에서 발췌한 내용이며, 김찬기교수(건양대학교대학원 치유선교학과장, 대전방주장로교회 담임목사, 치유선교회 대표회장)치유선교학에 대한 간략한 안내를 소개해 드립니다. 치유선교학 석사 박사에 관심이 있으신 분은 대전에 있는 건양대학교 대학원 과정(건양대 병원)을 참조하시면 좋겠습니다.

 

치유선교학(Healing Missiology) 하면 대부분 무엇을 하는 학문인지 묻는다. 치유선교학은 일보(一步) 이명수 박사(이화여대 교수, 의사, 치유선교학의 개척자)에 의하여 이론이 정립되고 시작되어, 1981년 아세아연합신학대학원에 의료선교학과로 개설되었다가 훗날 치유선교학과로 이름이 바뀌어 연구되고 발전되어 오고 있는 학문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역사는 오래 되지 않았지만 성삼위 하나님의 치유 역사만큼 오래된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성서와 함께 시작된 학문이기 때문이다. 치유선교학은 병든 인간과 사회를 치유하고 나아가 하나님의 나라를 확장하는 실천적인 학문이다. 치유선교학은 성서에 바탕을 두고 있다. 성서의 중요성에 대하여 폴투르니에는 다음과 같이 지적하였다. 사물의 의미, 질병과 치료의 의미, 삶과 죽음, 세계와 인간과 역사의 의미에 관해 과학은 우리에게 아무 것도 설명해 주지 못한다. 이 모든 것을 말해는주는 것이 성경이다.

 

성경은 하나님의 형상과 모양대로 지음 받은 존재에 대하여 사람은 육체만이 아니라 정신적, 영적인 존재요 나아가 주어진 환경에 영향을 주고받으며 살아가는 사회적인 존재라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한 인간을 이야기할 때 우리는 총체적인 면에서 보아야 한다. 치유선교학은 바로 인간을 총체적인 존재(Holistic Being)로 보고 나아가 총제적인 면에서 치유하고자 하는 실천적인 학문이다. 스위스의 인격 의학 주창자인 폴 투르니에는 치유사역이란 무엇인가를 잘 지적하였다.

 

인간이 병들었다면 그 이유는 인간이 하나님의 목적에 부합하는 생활을 하지 않은데 있다. 그러므로 의사로서의 최상의 역할은 인간으로 하여금 저들에 대한 하나님의 목적이 무엇인지를 분별하도록 하여 주고 아울러 그 목적하심에 따르도록 인간을 돕는 데 있다.

 

치유선교학은 치유의 대상인 인간의 구조를 육체적, 정신적, 영적으로 본다(전인 Whole being). 그리고 인간이 몸 담고 있는 사회 환경의 영향을 받는 존재로 보고 치유의 범위를 사회(환경)까지 포함한다(전인 whole being + 사회 social = 총체적 존재 Holistic being). 따라서 치유선교학은 병든 전인과 사회(환경)를 치유하여 하나님의 나라를 확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있다.

 

의사였다가 목사가 된 로이드 존스 목사는 치유선교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아주 잘 지적해 주고 있다. “기술적인 의학과 첨단 치료 요법이 제공해 줄 수 있는 것을 뛰어 넘어서, 우리는 사람들에게 전인적인 온전한 인간이 될 수 있는 유일무이한 바로 그 길을 제시해줄 수 있어야만 한다.” 오늘날 의·과학은 육체와 정신의 한계에 묶여 있다. 그러나 성서에는 인간을 하나님의 형상과 모양대로 지음 받은 영적 존재(SpiritualBeing)임을 말한다. 바로 의·과학에서 말하지 않는 영적인 존재임을 말하고 있다. 바로 성경이 말하는 것은 총체적 치유사역(Holistic healing ministry)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치유사역을 의사요, 치유사역자인 전재규 박사는 이렇게 설명한다. 치유사역은 근본적으로 생명 사역이며 하나님의 창조사역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치유는 생명력을 가진 새로운 신생 세포의 결집으로 이루어지는 생명사역이므로 하나님께 속하고 사람은 보조자로 심고 물주는 역할을 한다. 이런 과정 속에서 하나님께서는 새 세포를 생산하여 자라게 하신다. 치유 선교학은 성서와 함께 시작된 성서에서 하나님이 행하시는 사역이요, 21세기의 대안이며, 가장 이상적인 통합적이고 실천적인 학문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