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상담학적 관점2

사회학적 관점에서의 인간과 결론(과학적, 상담학적, 사회학적 관점) 인간을 동감적 교감을 통해 사회적 삶을 영위하는 존재로 이해하는 동감의 사회학은 애덤 스미스가《도덕 감정론》에서 제시한 동감 이론을 윤원근 박사가 독자적인 사회학 이론으로 체계화한 것이다. 동감의 사회학이 기존 사회학 이론들이 가지고 있는 인간에 대한 단편적인 이해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국부론》의 저자 애덤 스미스는 고전 경제학의 창시자 또는 정치. 경제학의 원리를 세운 사람으로 인간사회의 일반 원리를 체계화하려고 했다. 그는 정치. 경제 현상을 전체 사회 질서의 한 부분으로 바라보면서, 사회 질서의 보편적인 도덕 근거를 밝히려고 하였다. 그는 일차적으로 도덕 사회학자였고 부차적으로만 정치... 2023. 10. 15.
상담학적 관점에서의 인간 1. 상담과 기독교 1) 자신과의 관계 모든 사람은 상호관계성을 형성하면서 살아간다. 마틴 부버(Martin Buber)는 자기중심의 인간관계를 ‘나와 그것’의 관계라고 설정하며, 자기가 모든 인간관계의 중심이면 다른 사람들은 부수적인 사람으로 받아 드려서 인격체가 아닌 물건으로 인식된다. 이러한 관계는 외적인 요소를 중요시하여 사람을 표면적으로 판단함으로 상처를 받게 되고, 공감을 가지지 못하는 인간관계가 된다는 것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나와 그것’에 대한 관계가 목적만을 지향하고 인간관계에 신경을 쓰지 않는 사람은 불안하여 존엄성에 상처를 받게 되고, 수직적인 관계를 선호하는 인간은 자신에 대해 집착하여 자기 흡입(self-.. 2023. 10. 15.
반응형